제7장 민주주의 교육의 개념
1. 인간의 단체 생활에 내포된 의미
2. 민주주의의 이상
3. 플라톤의 교육철학
4. 18세기의 '개인주의' 이상
5. 국가적 교육과 사회적 교육
민주주의의 의미는, 사회 성원이 공유하는 공동 관심사의 수가 많고 종류가 다양하다는 것과 상호 관심사의 인정을 사회 통제의 방법으로서 더 중요시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다양한 상호작용으로 빚어지는 새로운 사태에 맞추어 끊임없이 적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p154)
31문단이 주제인 것 같다.
교육체제가 국가의 의하여 운영되면서도 동시에 교육적 과정이 목적으로 삼는 풍부한 사회적 의미가 제한되거나 억업되거나 타락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방법. 하나, 모든 젊은이들이 자신의 경제적, 사회적 삶을 사는 데에 충분한 준비를 갖추기까지 교육적 영향하에 남아있도록, 전통적 가치관, 전통적 교과, 전통적인 교수법과 훈육의 방법 등을 수정하는 일이 필요하다. 둘, 지리적인 제약을 떠나서 공동의 인간적 추구와 그 결과로 사람들을 결속시키는 모든 것에 강조를 두어야 한다. 국가의 주권은 모든 인간 상호간의 보다 충만한, 보다 자유로운, 보다 알찬 공동 생활과 상호작용에 대하여 부차적 잠정적인 성격을 가진다는 정신이 인간의 성향으로서 언제나 작용하도록 마음속 깊이 그 정신을 심어주어야 한다.
의미는 이해하고 그 내용 또한 동의하겠으나 깊이 있는 논의는 수요일 스터디 후에 가능 할 것 같다.
제8장 교육의 목적
1. 목적의 성격
2. '좋은 목적'의 기준
3. 교육에의 적용
목적이하는 것은 활동이 질서정연하게 순서에 따라서 이루어질 때, 다시 말하면, 그 순서가 하나의 과정을 점진적으로 완성하는 식으로 되어 있을 때에만 성립한다. 하나의 활동이 일정한 시간대에 걸쳐서 일어나고 또 그 시간데 내에서 누적적인 성장이 이루어질 경우에, 목적이하는 것은 결과 또는 가능한 종결 상태에 대한 사전의 예견을 뜻한다.
읽는 내내 이홍우 선생님의 개인 의견과 싸우느라 애를 먹었다. 나는 책읽기를 할 때 온전히 받아들이기부터 하고, 다 읽은 후에 동의를 하든 반대 입장을 취하든 하는 편이다. 왜냐하면 내가 읽는 철학서들은 대부분 '나보다는 나은' 사람들의 오랜 고뇌 끝에 나온 생각 중의 생각이기 때문이다. 물론 온전히 내가 동의할 수 있는 생각이 있고 거부감이 드는 생각이 있으나 일단 책을 읽기 시작하면 거부감을 묻어두고 이해하기 위해 애쓴다. 이홍우 선생님은 듀이의 견해가 못마땅하다. 그래서 문단이 끝나면 못마땅한 부분에 각주를 달아 아주 감정적인 불만을 쏟아붓곤 한다. 나는 듀이의 견해에 어느 정도 공감하는 편이다. 물론 다 읽은 후에라야 완전한 입장이 정해지긴 하겠지만 듀이의 견해 중에서 나의 사고와 배치되는 것은 거의 찾을 수 없다 오히려 읽을수록 합리적이고 철학적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래서 이홍우 선생님의 비난은 곳곳에서 내가 걸려넘어지지 않도록 애를 써야 하는 지뢰와 같은 역할을 한다. 처음보다 조금은 나아졌지만 몰입을 방해한다. 번역에 이렇게 노골적으로 개인의 생각을 피력해도 괜찮은 것일까?'
1. 인간의 단체 생활에 내포된 의미
2. 민주주의의 이상
3. 플라톤의 교육철학
4. 18세기의 '개인주의' 이상
5. 국가적 교육과 사회적 교육
민주주의의 의미는, 사회 성원이 공유하는 공동 관심사의 수가 많고 종류가 다양하다는 것과 상호 관심사의 인정을 사회 통제의 방법으로서 더 중요시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다양한 상호작용으로 빚어지는 새로운 사태에 맞추어 끊임없이 적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p154)
31문단이 주제인 것 같다.
교육체제가 국가의 의하여 운영되면서도 동시에 교육적 과정이 목적으로 삼는 풍부한 사회적 의미가 제한되거나 억업되거나 타락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방법. 하나, 모든 젊은이들이 자신의 경제적, 사회적 삶을 사는 데에 충분한 준비를 갖추기까지 교육적 영향하에 남아있도록, 전통적 가치관, 전통적 교과, 전통적인 교수법과 훈육의 방법 등을 수정하는 일이 필요하다. 둘, 지리적인 제약을 떠나서 공동의 인간적 추구와 그 결과로 사람들을 결속시키는 모든 것에 강조를 두어야 한다. 국가의 주권은 모든 인간 상호간의 보다 충만한, 보다 자유로운, 보다 알찬 공동 생활과 상호작용에 대하여 부차적 잠정적인 성격을 가진다는 정신이 인간의 성향으로서 언제나 작용하도록 마음속 깊이 그 정신을 심어주어야 한다.
의미는 이해하고 그 내용 또한 동의하겠으나 깊이 있는 논의는 수요일 스터디 후에 가능 할 것 같다.
제8장 교육의 목적
1. 목적의 성격
2. '좋은 목적'의 기준
3. 교육에의 적용
목적이하는 것은 활동이 질서정연하게 순서에 따라서 이루어질 때, 다시 말하면, 그 순서가 하나의 과정을 점진적으로 완성하는 식으로 되어 있을 때에만 성립한다. 하나의 활동이 일정한 시간대에 걸쳐서 일어나고 또 그 시간데 내에서 누적적인 성장이 이루어질 경우에, 목적이하는 것은 결과 또는 가능한 종결 상태에 대한 사전의 예견을 뜻한다.
읽는 내내 이홍우 선생님의 개인 의견과 싸우느라 애를 먹었다. 나는 책읽기를 할 때 온전히 받아들이기부터 하고, 다 읽은 후에 동의를 하든 반대 입장을 취하든 하는 편이다. 왜냐하면 내가 읽는 철학서들은 대부분 '나보다는 나은' 사람들의 오랜 고뇌 끝에 나온 생각 중의 생각이기 때문이다. 물론 온전히 내가 동의할 수 있는 생각이 있고 거부감이 드는 생각이 있으나 일단 책을 읽기 시작하면 거부감을 묻어두고 이해하기 위해 애쓴다. 이홍우 선생님은 듀이의 견해가 못마땅하다. 그래서 문단이 끝나면 못마땅한 부분에 각주를 달아 아주 감정적인 불만을 쏟아붓곤 한다. 나는 듀이의 견해에 어느 정도 공감하는 편이다. 물론 다 읽은 후에라야 완전한 입장이 정해지긴 하겠지만 듀이의 견해 중에서 나의 사고와 배치되는 것은 거의 찾을 수 없다 오히려 읽을수록 합리적이고 철학적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래서 이홍우 선생님의 비난은 곳곳에서 내가 걸려넘어지지 않도록 애를 써야 하는 지뢰와 같은 역할을 한다. 처음보다 조금은 나아졌지만 몰입을 방해한다. 번역에 이렇게 노골적으로 개인의 생각을 피력해도 괜찮은 것일까?'
'오늘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목 만이라도... (1) | 2024.11.06 |
---|---|
선입견... (0) | 2012.02.08 |
개인이 사는 것은 오직 현재에서일 뿐이다. (0) | 2012.02.03 |
듀이의 민주주의와 교육 6장 (0) | 2012.02.02 |
존 듀이와 함께 하는 두번째 Study(민주주의와 교육2,3장) (0) | 2011.12.29 |